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공학/데이터 큐레이션

Week8) 데이터 큐레이션 실습 : Sharing Knowledge and Collaborating (Community Watch and Participation)

Week8 ) Sharing Knowledge and Collaborating (Community Watch and Participation)

큐레이션 활동들을 향상시키고 진보시키기 위해 큐레이션 관련 활동을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고 개발에 참여하는 과정
디지털 큐레이터는 이러한 협력적 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함

1. 주요 활동

  • 관련 분야에서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 및 개발에 최신 상태 유지
    •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적용하는 활동
  • 데이터를 공유하고 데이터 재사용에 바탕이 되는 활동에 참여
    • ex) 표준 개발, 문서 정리 등
  •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표준 개발에 참여
  • 디지털 큐레이션을 위한 수단과 도구의 개발에 참여

1.1 최신 상태 유지하기

  • 공통체 감시는 지속적으로 디지털 큐레이션 분야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을 충분히 인지하기
  • 관련 자료 (큐레이션 매뉴얼, 온라인 교육 자료, 프로젝트 웹 사이트, 온라인 저널과 컨퍼런스 등) 을 참고해서 최신 동향 파악

2. 협력

  • 공통체 감시 및 참여의 참여가 의미하는 것은 디지털 큐레이션 공동체 안에서 협력이 필요함을 의미함
  • 협력 : 효율적인 큐레이션을 위한 중요한 활동 중 하나
  • 공동체 안에서 데이터 생산자, 사용자, 모든 이해관계자들은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고 함께 극복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함
  • 협력적 노력은 예외적이라기 보다는 공동체 규범 (Norm)에 가까움
    • 사람들이 지켜야 하고, 기본적으로 당연하게 지켜야 하는 것을 여김

2.1 협력의 중요성

  • 협력은 디지털 큐레이션 실행 (practice)에 내재됨
  • 데이터 관리 및 사용은 효율적 데이터 공유에 의존함
  • 효율적 데이터 공유는 표준 이용에 의존함
  • 한 기관이 디지털 자료의 생산, 보존, 제공을 모두 할 수 없기 때문에 협력이 필요함
  • 협력은 참여자들의 전문성과 경험의 공유를 통해 자원의 최선의 이용을 보장

2.2 디지털 유산의 보존을 위한 유네스코 지침

  • 전문성,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 비용, 다른 조직의 도구와 시스템에 대한 배움의 기회 공유
  • 영향력있는 이해관계자가 디지털 큐레이션을 진지하게 생각하도록 장려
  • 표준과 실행(practice)의 지속적 연구 및 개발
  • 잘 준비된 큐레이션 프로그램을 위해서 지역 및 국가 차원에서 관련 자원과 지원을 모아서 집중 해야 함

3. 표준

  • 디지털 큐레이션에 필수적인 요소
  • ex) OAIS Reference Model = ISO 표준 14721 → 널리 사용됨
  • 디지털 큐레이션의 기본 (데이터의 공유와 재사용) 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시스템의 상호호환성이 필요함
  • 신뢰성 있고, 지속적인 상호호환성을 위해 표준 필수적

3.1 표준의 중요성

  • 참여자간 혼란과 오해를 줄임
  • 동의를 획득할 수 있음
  • 표준 개발을 위해서는 디지털 큐레이션 내부 활동에 관한 지식 필요
  • 데이터 수집, 인용 및 주석, 분류 및 상호호환, 소프트웨어 통합, 대표 정보 등 모든 활동에 표준 적용 가능
  • 표준을 적용하면 데이터 이해 및 장기적 재사용성 높임
  • 표준 개발 사례 : DCC DIFFUSE Standards Frameworks
  • 아직은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실정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표준 개발이 필요

3.2 안정적인 데이터 형식을 위한 표준

  • 장기간 접근 가능한 표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디지털 보존 전략
  • 안정적이고 광범위하게 채택된 표준은 장기간에 걸쳐 지원될 가능성이 높음
    • 많은 사람들이 사용
    • 지속적으로 유지
    • ex) XML

3.3 데이터 공유를 위한 표준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가 표준 형식을 지켜야 상호호환 가능
  • METS (Metadata Encoding & Transmission Standard) : 메타데이터 인코딩 표준 제공

3.4 표준을 위한 수단과 도구

  • 초기에는 큐레이션 과정이 노가다 였기 때문에 큐레이션 대상 데이터 양이 제한적
  • 작업 흐름 자동화로 인해 대량의 데이터 큐레이션 능력 향상 및 비용 절감
  • 작업 자동화 소프트웨어 필요 ⇒ 자동화할 수 있는 활동들:
    • 디지털 자료 확인 (어디에 있는지, 어떤 형식인지)
    • 메타데이터 자동 생성
    • 관리 및 저장
    • 보존 및 통합
    • 권한 관리 및 접근 통제
  • 공동체 감시 및 참여

References

  •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영식 교수님의 2021-1 <데이터큐레이션실습> 수업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