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emlia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컴퓨터 네트워크]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기본 개념 정리 애플리케이션 계층 - 인터넷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커뮤니케이션은 논리적 연결을 사용해서 제공 (메시지 주고바을 때 논리적 연결 사용) peer-to-peer 패러다임 항상 서버 있는 것 X 양단간 임시적 소통 관리는 어려우나 확장성이 좋고 분산성이 높음 믹스 패러다임 클라이언트 서버 패러다임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응답 P2P ; 클라이언트가 다른 클라이언트로 정보 공유 가능 클라이언트 서버 패러다임 서버 영구적인 IP 주소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응답 서비스 클라이언트 서버에 요청 보냄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CP/IP의 하위 4계층에 연결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고 연결을 끊으라는 명령의 집합 소켓 인터페이스 운영체제.. [컴퓨터 네트워크] Kademlia DHT 카뎀리아 분산해시테이블 알아보기 Kademlia의 개념 분산 P2P(peer-to-peer) 컴퓨터 네트워크를 위한 분산해시테이블(Distributed Hash Table DHT) UDP를 사용해서 노드간 소통 **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데이터를 데이터그램/독립적인 패킷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정보 주고받을 때 별도의 신호 주고 받지 않음, 신뢰성이 낮으나 속도가 빠름) 참여 노드간 가상/오버레이 네트워크 형성 ** 오버레이 네트워크: 물리 네트워크 위에 성립되는 가상의 네트워크로 물리적 네트워크는 고려하지 않고 논리적 링크로 많은 노드들을 연결할 수 있음 노드 ID로 노드 식별 - 파일 해시에 대한 direct map, 카뎀리아 상에서의 위치 정보 저장 Kademllia 알..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