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보 보호) SSL, HTTP, HTTPS SSL(Secure Socket Layer) : 보안 소켓 계층 서버-서버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표준 기술 TLS(Transport Layer Secure Protocol) TLS 네스케이프에 의해서 SSL이 발명되었고,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의 관리로 변경되면서 TLS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TLS 1.0은 SSL 3.0을 계승합니다. 하지만 TLS라는 이름보다 SSL이라는 이름이 훨씬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12bme.tistory.com/80 [길은 가면, 뒤에 있다.:티스토리]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와 HTTPS (HyperText Tr.. Spring Boot) 여러 포트 사용하기 (멀티 커넥트, 다중 포트) 8080에서도 접근 가능하고 https 적용했을때의 포트인 8443에서도 접근하고 싶다. 이때 멀티 커넥트를 해야 한다고 한다. package com.kpmg.lighthouse.tpplatform.tpplatform;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org.apache.catalina.connector.Conne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Valu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embedded.tomcat.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server.Serv.. Spring Boot) pfx 인증서로 https 적용하기 처음에 cer 파일을 줘서 삽질 엄청하다가 pfx받아서 바로 해결! 내가 pfx로 변경하면 좋을텐데 회사에서 pfx를 받기 위한 절차가 너무 많았다. 삽질한 내용도 같이 남겨야지 cer파일과 crt 파일 .cer 파일 거의 대부분 PEM 포맷이며, 주로 Windows 기반에서 인증서 파일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확장자 이다. crt 확장자와 거의 동일한 의미이며, cer 이나 crt 확장자 모두 윈도우에서는 기본 인식되는 확장자이다. 저장할때 어떤 포맷으로 했는지에 따라 다르며, 이름 붙이기 나름이다. .crt 거의 대부분 PEM 포맷이며, 주로 유닉스/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인증서 파일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확장자 이다. 다른 확장자로 .cer 도 사용된다. 파일을 노트패드 등으로 바로 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