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보 보호) SSL, HTTP, HTTPS SSL(Secure Socket Layer) : 보안 소켓 계층 서버-서버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표준 기술 TLS(Transport Layer Secure Protocol) TLS 네스케이프에 의해서 SSL이 발명되었고,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의 관리로 변경되면서 TLS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TLS 1.0은 SSL 3.0을 계승합니다. 하지만 TLS라는 이름보다 SSL이라는 이름이 훨씬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12bme.tistory.com/80 [길은 가면, 뒤에 있다.:티스토리]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와 HTTPS (HyperText Tr.. Javascript) http에서 클립보드 쓰기 기능 사용하기 클립보드에 내용을 저장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navigator.clipboard는 보안상의 이슈로 인해 https에서만 사용 가능한 객체다. 그때 야매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var dataToClicpboard = "클립보드에 저장할 내용" let textArea = document.createElement("textarea"); textArea.value = dataToClicpboard; textArea.style.display = "fixed"; textArea.style.left = "-999999px"; textArea.style.top = "-999999px"; document.body.appendChild(textArea); textArea.focus(); textArea.select(..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2) Application Layer : 애플리케이션 계층 Chapter2) 컴퓨터 네트워크 : Application Layer 1. Introduction 어플리케이션 계층 모든 인터넷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 인터넷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 논리적 연결을 보여줌 사용자는 내부 소통 연결을 알필요 없고 논리적인 연결만 알면 된다. 위 그림에서 앨리스와 밥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providing services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계속해서 인터넷에 추가됨 표준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HTTP, FTP, SMTP, Telnet, ... 비표준화 프로토콜은 인터넷 당국의 승인이 필요 없고,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함 2. Client-Server 서버(호스트) : 항상 호스트이며, 클라이언트에 요청 받은 서비스를 제.. 이전 1 다음